반응형



딸기 시즌이 돌아오면 빠질 수 없는 디저트 뷔페! 이번에 방문한 곳은 반얀트리 호텔에서 진행하는 '베리 베리 베리' 디저트 뷔페였습니다. 기대를 안고 방문했지만, 솔직히 말해 기대에 살짝 미치지 못한 부분이 많았던 체험이었습니다. 지금부터 제 주관적인 후기를 공유합니다.



1. 웰컴 드링크: 상큼한 시작


뷔페의 시작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딸기 모히토였습니다. 상큼한 향과 맛이 입맛을 돋우기에 충분했어요. 이 모히토는 이번 뷔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몇 안 되는 만족스러운 메뉴 중 하나였습니다.

음료는 딸기모히토 외에 티와 커피중에 하나를 고를수 있었습니다. 커피는 디카페인도 주문 가능 했고  아메리카노로 리필 가능 했습니다.




2. 디저트: 다양하지만 아쉬운 퀄리티


디저트는 약 20가지가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모든 디저트를 한입씩은 맛보있는데요. 기대했던 만큼의 특별히 맛있는  디저트는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가장 가운데 위치한 메인!! 딸기 생크림 케이크는 유지방 맛이 많이 느껴지는 크림이 사용되었는데, 부드럽지만 느끼한 맛이 강해 제 입맛에는 다소 부담스러웠습니다.

녹차 롤케이크는  팥이 약간 들어 있었고, 밀도 높은 단단한 질감이 특징이었어요. 개인적으로는 부드럽고 가벼운 롤케이크를 선호하기 때문에 제 취향과는 맞지 않았습니다.

나머지 디저트는 주로 핑거푸드 스타일의 작은 디저트들이었는데, 외형은 예뻤지만 맛은 평범하거나 다소 실망스러웠습니다.

특히 디저트에서의 고퀄리티를 기대하신다면, 다소 아쉬움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콜드푸드: 새우 요리가 베스트


콜드푸드 중에서는 컵에 담긴 새우요리가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새우와 함께 제공된 칠리소스가 정말 맛있었고, 상큼한 맛이 더해져 만족스러웠습니다.



4. 핫푸드: 라멘과 마라 핫윙 추천


핫푸드는 총 8가지가 있었는데, 몇 가지는 괜찮았고 몇 가지는 아쉬웠습니다.

라멘: 해산물 국물의 깊고 진한 맛이 매력적이었어요. 이건 꼭 추천드립니다.

마라 핫윙: 살짝 매콤하면서도 감칠맛이 살아있어서 개인적으로 좋았습니다.

피자: 구색 맞추기용으로 보였고, 맛은 별로였습니다.

떡볶이: 양념은 맛있었지만 떡이 단단해서 아쉬웠어요.





5. 딸기와 하겐다즈 모나카


딸기: 킹스베리 라고하기엔 약간 작고 일반 딸기보다는 크고 싱싱했으며 달콤한 맛이 좋았지만, 과육이 부드러운 편이라 단단하고 아삭한 딸기를 선호하는 저로서는 살짝 아쉬웠습니다.

하겐다즈 모나카: 뷔페 종료 약 한 시간이 안남은 시점에 제공되었는데, 이미 배가 불러 제대로 즐길 수 없어서 아쉬웠어요. 하겐다즈 답게 맛은 좋았습니다.



마무리하며


전반적으로 이번 '베리 베리 베리' 뷔페는 실망스러운 부분이 다소 있었습니다. 고급스러운 디저트가 부족했고, 핫푸드와 콜드푸드 몇 가지에서만 만족을 느꼈습니다.
디저트를 좀더 자세히 설명 하자면 휘낭시에, 브라우니, 머핀등 간단한 구움 과자에 크림장식이 되어있는 수준이었어요.

제가 방문했던 다른 딸기 뷔페들과 비교해보면, 드래곤시티 딸기 뷔페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주었습니다. 드래곤시티는 2년전 딸기뷔페와 망고 뷔페를  다녀온적이 있는데요. 1층 디저트샵에서 판매하는 고급 디저트를 그대로 뷔페 메뉴로 선보이기 때문에, 퀄리티가 확연히 높았어요.  당시에는 밀푀유, 에끌레어, 무스케이크, 마카롱등 진짜 디저트들이 있어서 만족감을 채워주었습니다.

반얀트리 호텔의 '베리 베리 베리' 딸기 뷔페는 예약부터 치열하기에 큰 기대를 안고 갔지만, 전반적인 퀄리티와 구성이 다소 아쉬웠던 경험이었습니다. 딸기 디저트를 좋아하신다면, 다른 뷔페와 비교하며 방문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저께에 이어 어제는 반도체주가 상승했고, 전선주도 강세였으며, 자동차주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오늘은 k뷰티 업종이 반등했고, 전선테마의 상승이 이어지는 모습이었으며 자동차 업종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상운임지수 상승으로 인해 강세를 보이던 조선, 해운 업종도 몇 종목이 상승하는 모습이다.

몇 개의 주도 테마들이 순환하는 장세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식품주에서는 대장격인 삼양이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2,784)와 코스닥(838.65) 지수는 다소 하락 했다.


매수 종목

디아이

반도체 검사장비 제조업체, 

  • 매수이유: 전일 반도체 주가 강세였기 때문에 52주 신고가를 달성한 디아이가 상승 흐름을 이어가지 않을까 해서 소량 매수했다. 오늘 장중 신고가를 재차 달성했지만 매도세가 강해지면서 어제보다 3% 하락으로 마무리되었다. 위로 긴 꼬리를 달고 하락 마감.차익실현 물량이 많이 나온듯 싶다. 기관 매수세가 있어서 내일을 지켜봐야할듯. 아직 5일선 아래로 내려오진 않았다.
  • 매도시나리오:  5일선 아래로 떨어지면 손절. 신고가 달성시 일부 매도.

 

테크윙 (2조2천억)

  • 매수이유:  반도체주 강세에  관심종목에 있던 테크윙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력적으로 보여 장초반에 매수.
  • 특이사항: 오늘 8%대 강한 상승을 했다. 신고가 재달성. 매일 신고가 갈아치우는 중. 주주들의 차익실현 욕구가 생길 수 있을것 같음.
  • 매도시나리오: 저항대가 없기 때문에 하락 반전하는모습이 보일때 분할로 매도. 

 

HD한국조선해양

  • 매수이유: 호황을 맞이하고 있는 조선업 종목들 중 눈여겨보고 있던 종목인데 오늘 신고가 돌파했다. 상승흐름이 좋기 때문에 늦은 감이 있나 싶지만 소량 매수했다. 외인 매수 지속, 오늘 연기금 매수 동참.
  • 52주 신고가 달성
  • 매도시나리오: 저항대가 없어 상승세를 보고 판단.

 

대주전자재료

LED용 형광제 세계2위 생산능력 보유. 실적 매우 좋음 전년 동기대비 영업이익 2,765%.

신고가 이후 조정후 반등하는 중.

  • 매수이유:U자형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전선주도 강세이기 때문에 5일선 위로 뜬 모습에 매수.
  • 전고점을 돌파할 만한 힘이 있는지 모르겠다.거래량이 적다. 기관 외인 수급도 많지않음.
  • 반성: 시초가에 비싸게 샀다. 좀더 지켜보고 사도 됐는데.
  • 매도시나리오:  5일선 아래로 떨어지면 손절. 전고점 터치시 일부 매도.

 

일진전기

  • 어제 매수종목 서치중 강세인 전선 업종 중에서 일진전기의 차트가 상승 흐름을 이어갈수도 있을것 같아 보여서 관심종목에 넣어두었는데 오늘 5일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모습에 매수. 기관 외인 동반 매수세 있음.
  • 매도시나리오:  5일선 아래로 떨어지면 손절. 전고점 터치시 일부 매도.

 

매도 종목

HD현대일렉트릭- 일부매도

매도 시나리오대로 신고가 돌파 하여 신고가 에서 일부 매도. 솔직히 팔고싶지 않았지만 원칙을 지키기위해 매도했다. (수익률:  +4.5%)

 

lg이노텍 - 일부매도

어제 매도 시나리오 대로 신고가 돌파후 분할 매도.

하지만 오늘 오전에 길게 빠지는 모습에 5선이탈 하지도 않았는데 성급히 일부 매도 했다. 매도원칙을 지키지 않은것 반성. 오후에 보니 말아 올라갔다.어제와 비슷한 종가. (수익률: +0.47%)

 

화신 - 일부매도

또 원칙을 안지키고 빠지는모습에 손실이 두려워 일찍 일부 팔아 버렸다. 5일선 위에 유지중인데 왜 팔았을까.. 장마감후 보니 매도가격보다위로 아랫꼬리를 달며 올라갔다. 그러지말자. (수익률: -0.72%)

 

대원전선 -전량 매도

어제 큰상승이 있었고, 단발성 호재라고 생각해서 오늘 시초가에 매도(수익률: +1.78%)

 

이수페타시스- 손절, 전량매도

5일선 이탈하여 매도. (수익률: -3.58%)

반응형

'주식 공부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6 매매일지  (0) 2024.06.26
6월 25일 매매일지  (1) 2024.06.25
반응형

오늘시황: 코스피 2,792(+0.64), 코스닥 842.12

시장을 주도하던 화장품, 식품주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어떤 다른 섹터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는지 파악 하자. 

 

<전기, 전선>

북미 전력인프라 수요

대표주: LS전선, 대한전선

대원전선

 미국 여러 전력청에 샘플을 제공한 상태로 테스트가 진행 중, 미 수주 기대감 - 호재 뉴스

  • 매수이유:오늘 20% 이상 폭등, 대량 거래량과 긴 장대양봉에 시장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것같아  지속성이 있을것 같은 하는 관점에서 소량 매수 해보았다. 장기적으로 갈 이슈는 아닌것 같아보인다.
  • 매도 시나리오: 전고점 도달시 매도, 전일 종가 이탈시 매도, 다음날 갭 상승시 시초가에서 매도.

HD현대일렉트릭

NH증권 목표주가 상향 29만->35만,

북미향 전력기기 수주가 계속되는 가운데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른 초고압 변압기 수요가 더해질 것으로 예상.

2024년 하반기 초고압 변압기, 2025년 중저압 차단기 증설까지 더해져 이익은 확대될 전망

  • 매수이유:  대원전선이 관심 받는것을 보고 전기 전선 업종 주식 서치중 아래로 긴 꼬리를 달고있는 모습에 매수. 매수 근거가 다소 부족함. 하지만 단기이평선들이 저점을 높이면서 점차 모이고 있는 상황은 나쁘지 않아보임.
  • 매도 시나리오: 5일선 위로 지지받지 못하고 20일선 아래로 내려가면 손절. 전고점 달성 일부매도.

<AI 반도체>

전일 엔비디아 상승세에 힙입어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sk하이닉스

  • 매수이유:  새벽에 엔비디아 상승 하는 것을 보고 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 두 종목 모두 시초가에 매수 될수 있도록 자동주문을 걸어두었으나, 날짜 기입이 잘못되어 매수 불발되었다..ㅠ 오전에 3% 정도 오른 상황에서 하이닉스만 매수. 5.3% 상승 마감. 넘나 아쉬운거 한미도 3.99%상승!!
  • 매도 시나리오: 10일선 이탈시 일부 매도,  나쁜 이벤트가 없는한 장기 보유 할 생각.

이수페타시스

2023년 구글의 TPU(텐서처리장치, AI 전용 반도체) 출하량은 200만개를 돌파했고, 관련된 이수페타시스 매출은 1500억원을 기록했다

  • 매수이유: 전일 바닥에서 3%이상 올라오는 모습에 오늘 5일선 돌파하여 매수. 외국인 4일연속  매수세.
  • 매도 시나리오: 직전 고점이 신고가였음, 전고점 달성시 일부매도, 5일선 이탈시 손절.

두산로보틱스

AI와 더불어 앞으로 로봇산업도 큰발전을 이룰것이라는 생각. 앞으로의 실적 개선될것으로 전망됨.

  • 매수이유:  큰상승 이후 상승분 모두 반납하고 급락한 상황에서 지지선위로 점차 오르는 모습을 보이고있다.   외국인 매수세가 지속적이며, 오늘은 기관도 매수. 오늘 5일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 매수.120일선 터치. 하지만 주도 섹터가 이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보인다.
  • 매도 시나리오: 이전 고점들의 저항대 도달시 매도, 5일선 이탈시 손절.

 

비에이치 -추가매수

  • 매수이유: 어제 매수한 이유에 더불어 오늘 5일선 돌파 상승흐름을 이어가기에 오전에 추가로 매수.

 

HLB- 손절, 수익률: -4.33%

매도 시나리오 대로 5일선 이탈하고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전량 매도.

반응형

'주식 공부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7일 주식 매매일지  (0) 2024.06.27
6월 25일 매매일지  (1) 2024.06.25
반응형

오늘 시황: 엔비디아 하락에 AI반도체주 하락. SK하이닉스는 저점 매수세 유입으로 소폭상승 마감.
강달러에 수출 주 위주로 강세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스피 +0.35%, 2774.39/ 코스닥 841.99, +0.06%
 

한국화장품제조 일봉

한국화장품제조 (시총 2400억)

  • 매수 이유: 2달여간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 화장품 테마. 황보중인 모습을 보여주고있는 가운데. 지켜보고있던 화장품 주들 중에서 박스권 지지선 부근 바닥이라고 생각해서 매수. 23일, 24일 매수.
  • 매도 이유: 장초반 3% 이상 하락하며 5일선 이탈하는 모습에 매도 했으나 장 후반 다시올라와 4%대 상승으로 마감. 
  • 매매평가: 매도가 성급했던것 같다. 단기 이평선들이 모여있고 저점을 약간 높여가고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손실에 대한 두려움에 매도를 너무 빨리 해버린것이 아쉬움. 

 

 

HLB (시총 9.5조)

HLB는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에 대한 기대감으로 한때 주가가 10만원대를 돌파했으나 미국식품의약국(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받으며 5월 17일, 20일주가가 폭락했다. - 과도한 낙폭이여서 회복중인 것으로 생각됨.

" 항암신약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이 간암 1차 치료제로 허가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수술이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서도 사전 처치 결과 높은 비율의 완전관해가 도출되며, 전환치료제(conversion therapy)로서의 가능성을 재차 제시했다.
 최근 상하이 통지 의과대학의 지앙(Gening Jiang)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임상 2상 결과에서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이 절제 불가능한 2~3기 NSCLC 환자에서 유의미한 병리학적 반응율(MPR)과 병리학적 완전관해율(pCR)을 보여, 전환 치료제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출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844688
  • 매수 이유:  천천히 상승중인 모습에 트랙킹 중이었음. 이평선을 정배열로 만들고 서서히 올라오는중모습. 직전 고점을 뚫고 올라오는 모습에 매수. 5일간 외인의 지속적인 수급 확인, 당일 프로그램 매수세 확인.
  • 매도 시나리오: 5일선 이탈시 손절, 일봉상 120일선 터치시,  주봉상 10주선 (75000원) 도달시 분할로 매도.

 

화신 일봉차트

화신 (시총 5천억)

샤시와 차체 부품을 제작해 현대차·기아와 해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 등에 공급.
2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역사상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2% 늘어난 302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

 

  • 매수 이유: 반도체 하락과 반대로 수출 호황인 자동차주 대장격인 현대차의 오르는 모습을 보고 자동차주 소부장 기업들중, 차트모양이 정배열이고  거래량이많고 5일선 돌파하는 상승세가 강한 화신을 선택 매수. +시간외 단일가 추가매수.
  • 직전 고점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23년 7월이후 신고가. 당일 기관 63억 매수.
  • 매도 시나리오:  24일의 종가 이탈시, 다음날 갭상승시 시초가, 손절가 5일선 이탈시. 

 

비에이치 (시총 8천억)

아이폰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경연성인쇄회로기판(RFPCB) 공급 확대.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에 따르면 2분기 예상 매출액은 3869억원, 영업이익은 173억원으로 각각 지난해 동기 대비 26.7%, 78.4%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비에이치의 2분기 기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애플이 2분기 삼성디스플레이에 당초 계획보다 많은 OLED 패널을 추가 발주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비에이치는 삼성디스플레이 최대 RFPCB 협력사다. 삼성디스플레이가 많은 물량을 수주할수록 비에이치 수혜가 커지는 구조로, 애플이 삼성 OLED 주문량을 늘려 비에이치가 비수기에도 성장이 주목된다는 것이다.

최근 아이폰16 시리즈용 RFPCB 양산도 돌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이폰16은 올 가을 출시될 예정인 애플 신형 스마트폰이다. 비에이치는 4개 모델 전체에 들어가는 RFPCB를 맡았다.  아이폰16 시리즈 내 공급 비중은 8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출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13762)

 

  • 매수이유: 전날 대표 아이폰 수혜수 LG이노텍 상승하는 모습에 다른 아이폰 부품주 서치. 5월 31일 신고가 달성 후 하락하다 점차 바닥을 높여가는 모습을 보여 소량 매수 해봄. 5일선 돌파하면 추가 매수 계획.
  • 매도 시나리오: 전고점 도달시, 손절-10일선 아래로 이탈시.

 

LG이노텍( 6조 2800억)

lg이노텍 주봉과 일봉
 아이폰16 교체를 시작해 내년 아이폰17까지 대규모 교체 수요 예상.
아이폰 관련 매출이 전체 매출의 84%를 차지하고 있음. LG이노텍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493% 증가한 1088억원에 이를 것. 시장 기대치(810억원)을 34% 상회하는 실적으로 2022년 2분기 이후 2년만에 최대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
기판 시장의 고대역폭메모리(HBM)으로 불리는 AI 반도체 기판인 FC-BGA양산을 시작해 올 하반기 북미 빅테크 업체에 공급 예상.

 

  • 매수이유: 갭상승하며 5일선 위로 올라온 모습. 외인과 기관의 지속적인 수급 모습에 매수. 하지만 아직 저항을 뚫지못함.
  • 매도 시나리오: 위의 고점 저항대 돌파시, 주봉상 120일선 도달시분할 매도.  손절가 5일선 이탈시.

 
 
손절은 빠르게 한번에, 익절은 분할로 하자.

반응형

'주식 공부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7일 주식 매매일지  (0) 2024.06.27
6/26 매매일지  (0) 2024.06.26
반응형

<바이오 섹터: 비만치료제>

GLP-1: 혈당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주는 물질.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비만·당뇨병 치료제로 주로 쓰이고 있다. 최근 임상에서 MASH (대사이상 지방간염)  , 퇴행성 뇌 질환, 수면 장애 등 개선에도 효과가 입증되면서 약물 활용 범위는 확장되고 있다.

비만 치료제계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GLP-1을 투약하는 미국인은 3천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됨.

현재 비만치료제 시장은 삭센다, 위고비를 앞세운 노보노디스크를 비롯해 일라이릴리, 바이킹과 같은 글로벌 빅파마들이 장악하고 있다.

 

K바이오 향후 행방

1.경쟁

현재 해외 비만치료제들은 상대적으로 BMI가 높은 서양인 중심으로 만들어졌있음. 상대적으로 내장 지방으로 인한 비만이 많은 아시아인 특화 시장을 겨냥. 실제 한미약품은 임상에서 모두 우리나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했다.

 

  • 한미약품: 혈당과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크레틴'을 치료하는 방식의 신약 물질의 임상 1상 계획서(IND)를 미국 FDA로부터 승인 받았습니다. 기존 GLP-1에 두 개의 수용체 작용을 추가적으로 설계했고요.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비만 치료제의 임상 1상이 진행 중인데요. 업계에선 생체이용률 등 관련 진행 상황은 내년 하반기에 확인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유한양행은 GLP-1 기반은 아니지만, 식욕을 억제하는 새로운 호르몬을 겨냥한 신약을 개발 중입니다.
  • 삼천당제약은 현재 아일리아 저용량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허가 취득을 진행 중이며, 당뇨 및 비만 치료용 주사제(인슐린과 GLP-1)를 경구제로 변경한 제품들의 임상 진행을 눈앞에 두고 있다.

2. 기술이전

알테오젠

펩트론

인벤티지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67786


<폭염- 빙과, 음료>

아이스크림 가격이 5년 전 대비 30~40% 오른 가운데, 하반기 추가 인상 가능성도 높다.

  •  빙그레의 ‘메로나(75ml)’ 평균 소매가격은 2019년 6월 559원에서 올해 913원으로 63.3% 상승했다. 롯데웰푸드의 ‘월드콘 바닐라(160ml)’도 동기간 1114원에서 1390원으로 24.7% 올랐다.
  • 아이스크림의 주 재료로 꼽히는 설탕, 소금, 계란 등 7개 품목의 가격이 2019년 대비 22.4% 올랐다. 특히 물엿(1.2kg) 44%, 설탕(1kg) 42.9%, 계란(15구) 42%, 우유(1L) 16.9% 순으로 많이 증가했다.
  • 원유 가격도 큰 변수다. 낙농가와 유업계에 따르면 이달 8월 1일부터 리터당 최대 26원까지 올릴 가능성이 거론돼 하반기 아이스크림 가격 추가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76750


<K뷰티- 선크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 한국콜마코스맥스의  2분기 실적 기대.

  • 한국콜마: 국내 유통되는 선케어 제품의 70% 이상은 한국콜마 제조 제품이다. 본격적인 선케어 시즌에 맞춰 주문 물량도 급증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는 고객사의 수주 증가로 글로벌 공장 가동률이 90%를 넘어섰다. 특히 최근 1년 한국콜마로 의뢰하는 고객들 중 약 20%가 선케어 제품이다. 중국에서도 선케어 제품 수주가 늘며 흑자전환 했다.
  • 코스맥스: 코스맥스가 거래 중인 전 세계 고객사는 현재까지 약 1300여 개로, 올해에만 약 300곳 이상 고객사를 추가한다는 목표다.   코스맥스의 차별화 경쟁력으로는 세계 주요 국가를 거점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과 연구개발 투자가 꼽힌다. 코스맥스는 R&I 분야에 기술 개발비를 매출의 5% 이상 지속 투자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그룹 R&I 인력은 1100명을 넘어섰다.

출처: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618687

 

반응형

+ Recent posts